NAS를 처음 접하는 분들이 가장 많이 고민하는 부분이 바로 RAID(레이드) 구성입니다. RAID는 단순히 디스크를 여러 개 묶는 방식이 아니라, 데이터 안정성·성능·저장 효율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놀로지 NAS에서 자주 쓰이는 RAID 방식과 각각의 차이점, 장단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RAID 0 (스트라이핑)
구성 방식: 두 개 이상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나눠서 동시에 저장.
장점
빠른 속도: 읽기·쓰기 성능이 가장 뛰어남.
저장 공간 100% 활용 가능 (예: 4TB + 4TB = 8TB).
단점
안정성 없음: 한 개의 디스크만 고장 나도 모든 데이터 손실.
적합한 사용자
성능이 중요한 영상 편집, 임시 데이터 처리 등 백업이 따로 가능한 환경.
2. RAID 1 (미러링)
구성 방식: 동일한 데이터를 두 개 이상의 디스크에 그대로 복사 저장.
장점
안정성 높음: 한쪽 디스크가 고장 나도 데이터 손실 없음.
복구가 빠르고 쉬움.
단점
저장 효율 낮음: 디스크 2개 중 1개 용량만 사용 가능 (예: 4TB + 4TB = 4TB).
적합한 사용자
업무용 문서나 사진 등 데이터 안정성 최우선 환경.
3. RAID 5
구성 방식: 최소 3개의 디스크 필요.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하면서, 일부 공간을 패리티(오류 검출용)로 사용.
장점
속도와 안정성 균형: 읽기 속도 우수, 쓰기는 무난.
1개의 디스크 고장까지는 데이터 보호 가능.
저장 효율 양호 (예: 4TB × 3개 = 12TB → 실사용 8TB).
단점
복구 시간 길어짐: 디스크 장애 시 재구성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 과정에서 추가 장애 위험 있음.
쓰기 성능이 RAID 0/1에 비해 떨어짐.
적합한 사용자
가정용·소규모 사무실: 저장 공간과 안정성을 모두 고려하고 싶은 경우.
4. RAID 6
구성 방식: RAID 5와 유사하나, 2개의 디스크를 패리티 용도로 사용. 최소 4개 이상의 디스크 필요.
장점
안정성 최고: 동시에 2개 디스크 고장까지 커버 가능.
대용량 환경에서 안심하고 운영 가능.
단점
저장 효율 떨어짐 (예: 4TB × 4개 = 16TB → 실사용 8TB).
쓰기 성능 저하가 RAID 5보다 더 크다.
적합한 사용자
기업용, 중요한 데이터가 많은 환경. 데이터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할 때.
5. RAID 10 (RAID 1+0)
구성 방식: 최소 4개 디스크 필요. RAID 1(미러링)과 RAID 0(스트라이핑)을 결합.
장점
안정성과 성능 모두 만족: 읽기·쓰기 속도 뛰어나고, 안정성도 높음.
일부 디스크 고장에도 데이터 안전.
단점
저장 효율 낮음 (예: 4TB × 4개 = 16TB → 실사용 8TB).
디스크 최소 4개 필요하므로 비용 부담.
적합한 사용자
데이터 안정성과 성능을 동시에 원하는 전문가, 기업 환경.
6. Synology Hybrid RAID (SHR)
시놀로지 전용 RAID 기술: 서로 다른 용량의 디스크를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
장점
초보자 친화적: 자동으로 최적화된 RAID 구성.
이기종 디스크 활용 가능 (예: 4TB + 6TB → RAID 5 유사 형태로 효율적 사용).
관리가 편리하고, 확장이 쉽다.
단점
시놀로지 NAS에서만 사용 가능.
이론적으로는 RAID 5/6보다 성능이 조금 떨어질 수 있음.
적합한 사용자
NAS 입문자, 다양한 용량의 디스크를 섞어 쓰는 사용자.
정리: 어떤 RAID를 선택해야 할까?
속도 최우선 → RAID 0
데이터 안정성 최우선 → RAID 1, RAID 6
속도와 안정성 균형 → RAID 5, RAID 10
초보자 & 다양한 디스크 활용 → SHR
NAS는 기본적으로 백업 장치가 아니라 스토리지 장치라는 점도 기억해야 합니다. 어떤 RAID 구성을 쓰더라도, 정말 중요한 데이터는 반드시 별도의 백업을 준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