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팩스와 우편?
지난 9월 28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수많은 행정 시스템이 중단되면서 국민들의 불편이 극에 달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내부 서버 장애가 아니라, 대한민국 전자정부의 핵심 인프라가 타격을 입은 상황에서, 그 후폭풍은 아직도 현재진행형입니다.
문제는 단지 서비스 중단이 아닙니다.
정부가 내놓은 ‘대응책’이 더 큰 문제라는 것이죠.
국민신문고·문서24 먹통… 그런데도 "팩스나 방문하세요"?
민원서비스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국민신문고와 문서24는 여전히 복구되지 않았습니다. 이 두 사이트는 민원을 제출하고 문서를 행정기관과 주고받는 데 핵심적인 창구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현재 대체수단이라며 정부가 내놓은 방안은 고작 팩스, 방문, 우편.
2025년 대한민국에서 이메일 접수조차 고려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많은 국민들이 실망하고 있습니다.
현실과 동떨어진 행정편의주의
왜 이메일 접수는 불가능한가?
간단한 시스템만으로도 수많은 국민이 불편 없이 민원을 접수할 수 있었을 텐데, 정작 행정은 “안 된다”는 답변만 내놓고 있습니다. 보안상의 문제를 말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보완 가능한 문제입니다. 결국 국민 편의가 아닌, 행정 편의에 맞춘 대처였던 셈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다 할 순 없지만…
대통령이 모든 민원을 하나하나 챙길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국가 위기 시에 보여지는 행정의 태도는 곧 정부의 신뢰도와 직결됩니다. 디지털 전환을 그렇게 외쳐놓고, 정작 시스템 마비 시에는 20년 전 방식으로 돌아가는 것이 과연 납득될 수 있을까요?
‘위기는 곧 기회’라고 합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대한민국 행정이 진정한 디지털 기반 민원처리 체계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반드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태도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마무리하며
이메일 하나조차 받지 못하는 행정,
‘디지털 강국’이라는 말이 무색합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거창한 시스템이 아닙니다.
국민을 우선에 두는, 단순하고 유연한 발상입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작은 아이디어 하나가 수많은 국민의 불편을 덜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