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디지털로그

메뉴 리스트

  • 홈
  • 공지사항
  • 방명록
  • 새글쓰기
  • 디지털로그 (1007)
    • 리뷰 (309)
    • 강좌 (113)
    • 게임 (22)
    • 육아 (60)
    • 칼럼 (119)
    • 뉴스 (145)
    • 사회 (81)
    • 취미 (77)
    • 활동 (30)
    • 단상 (51)

검색 레이어

디지털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CES 2016, LG전자 보급형 K7, K10 도대체 뭘 보여주고 싶은건가?

LG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16에서 보급형 스마트폰 라인업인 K 시리즈를 공개했습니다. LG전자가 말하는 K 시리즈는 조약돌을 모티브로 모던한 디자인에 고성능 카메라와 프리미엄급 UX를 내세운 보급형 스마트폰 라인업이라고 하면서 스마트폰 시장을 선제적으로 공략했하겠다고 합니다. LG전자의 포부는 그럴 듯 한데 조금 이해 안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CES는 매년 처음으로 열리는 대규모의 가전 전시회로 사실상 한 해 트랜드를 엿 볼 수있는 자리인데 생뚱맞게 왜 보급형 스마트폰을 발표했는가 입니다. 작년만해도 G Flex2를 깜짝 공개하면서 LG전자는 혁신적인 스마트폰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보이기도 했는데 올 해는 전혀 예상치 못했던 보급형 스마트폰을 두 모델이나 선보인..

칼럼 2016. 1. 7. 22:40

LG V10 판매부진 재고, 직원 연말선물로 밀어내기 그 후폭풍은?

LG전자의 V10은 출시부터 말이 많았던 제품입니다. LG전자가 주욱 밀고 오던 G시리즈에서 갑자기 V10이라는 생뚱맞은 이름을 달고 출시한 것부터 시작하여 가장 말이 많았던 부분은 바로 디자인이었습니다. 물론 디자인은 개인적 취향이라 분명 호불호가 갈리지만 V10에 대한 평가는 혹평 일색이었습니다. 결국 V10은 소비자들의 마음을 얻이 못하였고 그 결과는 판매부진으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LG전자 스마트폰의 경우 신제품효과를 얻지 못하면 결국 악성재고로 남게 된다는 것 입니다. 일단 판매부진도 판매부진이지만 엎친데 덮친격으로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4가 이제 출시 15개월이 되었기에 보조금 제한이 풀리게 되면 상당히 좋은 조건으로 판매가 될 상황이라 LG V10은 그야말로 사면초가에 빠지게 될 수 ..

칼럼 2015. 12. 27. 12:40

화웨이 카파이(CarFi) 출시, 뒷북에 효용성도 떨어지는 반쪽제품

화웨이가 국내에서 상당히 긴 공백을 깨고 새로운 제품을 국내에 선보입니다. 바로 4G LTE를 지원하는 차량용 모바일 AP(Access Point) 기기인 카파이(Huawei CarFi)를 LG 유플러스를 통해 12월 16일 공식 출시합니다. 화웨이 카파이는 자동차의 시거잭에 꽂기만 하면 LTE 신호를 이용해 무선AP(핫스팟)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차량전용 무선 라우터로 최대 150Mbps의 다운로드 속도를 제공하며 최대 10명까지 동시접속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화웨이 답게 카파이의 출고가는 11만원으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책정되었으며, 색상은 패션 엘리트 블랙(fashion elite black-검정) 단일 색상만 출시 된다고 합니다. 일단 가격은 괜찮은 것 같고 일상 생활에서 빼 놓을 수 없..

단상 2015. 12. 15. 22:31

독일 이동통신 T-Mobile 직접 써보니 아이폰이 무용지물

현대사회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커뮤니케이션입니다. 사회가 복집해 질 수록 커뮤니케이션 기술 역시 발전하고 있고 그 완성은 바로 이동통신 서비스가 아닐까 합니다. 휴대전화로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소통할 수 있게 되었고 더 나아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손안의 컴퓨팅 시대가 열리면서 이동통신 서비스는 일상생활 깊숙히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대한민국은 IT 강국으로 세계 최고의 통신 인프라를 갖추어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초고속 모바일인터넷을 활용해 정보검색은 물론 멀티미디어 활용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보니 이동통신산업 자체가 매우 주목받고 있고 또 그만큼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하지만 이동통신 서비스가 주목 받을수록 소비자들은 이동통신사에게 더 수준 높은 서비스를..

리뷰 2015. 10. 26. 02:44

삼성.LG전자 스마트폰 리베이트 판도라의 상자, 최민희의원 국감 공개

돌아오는 10월 1일이면 단말기유통법이 시행된지 딱 1년이 된다. 자본주의 국가에서 자율경쟁을 규제하는 법이 말이 되냐라는 논란까지 일었지만 시행 1년을 맞아 한편으로는 긍적적 모습도 다른 한편으로는 여전히 문제점을 보이고 있는 법이 바로 단통법(단말기유통법)이다. 법을 시행한 정부 입장에서는 부당한 고객차별이 개선되었고 이동통신 유통시장이 투명하게 변화된 긍정적 효과를 이야기하고 있고 반대여론으로는 시장축소, 통신비인하 효과 미비등을 주장하며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특히 단말기유통법에도 불구하고 통신비인하 효과가 미흡하고 단말기 가격이 인하되지 않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국내 휴대폰 제조사들이 대리점에 지급하는 리베이트의 규모가 최민희 의원에 의해 처음으로 공개됐다. 9월 14일 과천정부청사에..

뉴스 2015. 9. 14. 15:52

데이터중심요금제, KT 얄팍한 셈법에 자기 발등 찍다.

요즘 하루가 멀게 이동통신사들이 새로운 요금제를 쏟아 냅니다. 데이터중심요금제 발표이후 오늘은 부가서비스 형태로 가입하여 데이터 사용이 집중되는 시간에 무제한 데이터사용이 가능한 서비스까지 출시되었는데요. 사실 데이터중심요금제의 포문은 KT가 가장 먼저 열었지만 제대로 적에게 카운터 펀치를 날리지 못한 나머지 화력을 모아 반격을 시도한 SKT의 역공에 KT가 정말 호되게 당했고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질까봐 숨죽이던 유플러스가 KT와 비슷한 수준의 데이터중심요금제 출시 1주일만에 슬그머니 SKT 처럼 유무선완전무한으로 바꾸더니 결국 KT역시 백기를 들고 오늘부터 무선무한에서 유무선 무한으로 요금제를 변경하였습니다. 결국 소탐대실이라고 KT의 얄팍한 셈법에 결국 완전한 패잔병 꼴을 면치 못하게 되었는데 지난..

단상 2015. 6. 1. 20:39

황당한 미래창조과학부, LTE 유심기변 시행하면서 VoLTE는 제외??

국내에 LTE 서비스가 2011년 말 처음 도입되었으니 벌써 만 3년이란 시간이 흘렀습니다. LTE 서비스 초기에는 LTE를 통한 음성통화도 지원되지 않아 데이타는 LTE망으로 통화는 3G망으로 사용해야 하는 반쪽짜리 서비스였던 시절도 있었는데 이통사들의 발빠른 기술대응으로 현재는 4배 빠른 광대역LTE-A가 등장했고 LTE망을 이용해 기존 3G 음성전화보다 더욱 생생한 음성통화를 할 수 있는 VoLTE 서비스까지 제공하면서 이제는 명실공히 완벽한 LTE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기에 더불어 LTE 서비스 초기에 이통사간의 단말기 호환이 되지 않았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3년 11월 미래창조과학부는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고시 제2013-19호(상호접속)를 통해 LTE 유심이동성까지 시행하..

칼럼 2015. 3. 8. 18:17

스마트폰 해외직구시 꼭 확인해야할 스마트폰 스펙 및 주의사항

지난 해 10월부터 시행되었던 단말기유통법으로 인해 많은 것들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불법보조금이 강력하게 규제되면서 시장이 급랭해지자 제조사들은 단말기 출고가 인하와 보급형 단말기출시를 통해 소비자를 달래기 위해 나섰지만 소비자들은 합리적 소비에 눈을 뜨면서 중고 스마트폰, 알뜰폰등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가 하면 해외 직구를 통해 스마트폰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해외직구를 통해 스마트폰을 구입하는 경우 국내에서 보기 힘든 다양한 스마트폰을 아주 합리적인 가격에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수요가 점점 늘고 있지만 다른 제품과 달리 스마트폰을 해외직구로 구입하기 위해서는 조금은 전문적인 이동통신 관련 지식을 알아야 국내에서 사용하는데 문제가 되지않고 제대로 사용..

강좌 2015. 3. 8. 10:34

화웨이 X3 스마트폰 써보니 매력적인 다섯가지 장점

한국에 스마트폰 대표 제조업체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있다면 중국에는 화웨이와 샤오미가 중국 스마트폰 시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중국시장은 한국시장과 달리 규모의 경제를 갖춘 곳이라 중국시장에서의 성공은 곧 세계시장의 성공이란 수식어가 성립되고 상황으로 중국에서 1위로 승승장구하고 있는 샤오미는 아직 한국시장 진출을 못 하고 있지 않지만 (샤오미는 특허 분쟁의 소지가 있어 해외 진출은 어려워 보임) 지난 해 말 기술력으로 똘똘 뭉친 화웨이가 먼저 국내 안방시장을 공략하고 나서 관심이 집중되었는데요. 화웨이에서 국내에 처음으로 들고온 카드는 X3 였습니다. 50만원대의 합리적가격을 무기로 공격적인 영업을 시작하였으나 국내 이동통신시장은 높은 벽을 실감하였는데 특히 화웨이가 국내 시장에 진출하면서 이동통신사..

리뷰 2015. 2. 22. 17:50

이동통신사 삼국지 - SKT 선방, KT 자존심 회복, LGU+ 영원한 넘버3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2014년 성적이 나왔습니다. 지난 해 10월 단말기유통법 통과로 불법보조금에 대한 강력한 규제가 시행되면서 법 시행이전이었던 3/4분기부터 이동통신사들이 상당히 고전했던 상황이라 실적이 저하되었을 것이라는 생각과 달리 이동통신 전체 가입자수는 전년대비 4.6 % 신장된 결과를 보여주었는데요. 이동통신 3사가 지난 해 사활을 걸고 펼쳤던 이동통신 삼국지의 그 결과에는 어떤 재밌는 이야기들이 있을지 통계를 통해 이동통신사의 2014년 영업실적과 2015년 영업 전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지난 한 해 이동통신시장 점유율을 놓고 1위 기업인 SKT는 KT와 LG U+의 공격에 수성하는 입장이었고 U+는 LTE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상당히 공격적인 영업으로 KT와 SKT를 공략하고 있고 KT는 ..

칼럼 2015. 2. 15. 22:58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TOTAL :

TISTORY 2015 우수블로그
05-10 00:00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리뷰요청
디지털로그 © zullu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