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디지털로그

메뉴 리스트

  • 홈
  • 공지사항
  • 방명록
  • 새글쓰기
  • 디지털로그 (1007)
    • 리뷰 (309)
    • 강좌 (113)
    • 게임 (22)
    • 육아 (60)
    • 칼럼 (119)
    • 뉴스 (145)
    • 사회 (81)
    • 취미 (77)
    • 활동 (30)
    • 단상 (51)

검색 레이어

디지털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과기정통부의 이동통신 이심(eSIM) 개통 지원 발표, 꼼수를 막아야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2022년 9월부터 이심(eSIM) 개통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통신사에서 홍보해야 할 서비스를 왜 정부에서 나서 언론플레이를 할까? 진짜 다 차려진 밥상에 숟가락만 올려놓는 과기부에 쓴소리를 좀 하려고 한다. 이심은 최근에 새롭게 추가된 기능이 아니다. 2018년 아이폰 XS를 통해 국내에 처음 선보였던 이심을 수년간 통신사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보전하려고 지원하지 않고 있었다. 이동통신서비스 주무관청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역시 기업의 서비스에 국가가 개입할 수 없다는 취지로 묵인하여 통신사의 배를 불리기를 사실 상 방조를 해오다가 이제서야 이통사와 어떤 딜을 했는지 소비자들에게 생색을 내며 마치 자신들의 치적인양 국민을 호도하고 있다. 아이폰 이심, 통신사는 왜 지원하..

칼럼 2021. 12. 24. 08:35

화웨이 LTE라우터(E8372h-820) 개통 및 사용후기

전  세계 최초 5G 이동통신 서비스 상용화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싶었던 정부는 제대로 준비도 되지 않은 5G 통신 서비스를 시작하였지만, 그 결과 만족스럽지 못한 품질과 비싼 요금으로 이통사의 배만 불리고 있다.최근에는 돈값 못하는 5G 서비스에 불만이 폭증하면서 기존 4G LTE 또는 알뜰폰으로 다시 돌아오는 소비자들이 많은 상황인데 역시나 구관이 명관이라고 4G LTE는 통신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 중 가장 효과적인 부가서비스는 바로 '데이터쉐어링'이다.내가 가입한 요금제의 기본 제공 데이터를 별도의 심을 통해 최대 2회선까지 나눠쓸 수 있어 합리적 소비와 편리한 통신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주로 태블릿이나 공단말기에 사용하면 좋은데 가장 좋은 활용법은 바로..

리뷰 2021. 12. 21. 21:33

티플러스 알뜰폰, 아이폰 이심(esim) 개통 후기 및 통화품질

대한민국에서 소비자의 권리는 ‘개나 줘’라는 말로 표현해도 전혀 어색함이 없다. 대기업들의 횡포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보니 고객 만족은 바라지도 않는다. 그저 고객을 등쳐먹지나 않으면 다행이라고 만족하고 사는 세상이 되었다. 특히나 이동통신사들의 고객 기만과 꼼수는 상상을 초월하는데 오늘은 유심에 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이미 몇 해 전 애플은 아이폰에 내장형 유심인 이심(esim)을 탑재하기 시작하였다. 벌써 수년이 흘렀지만, 이동통신 3사는 애플의 이심 개통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통사는 여러가지 기술적 문제라고 에둘러 말하지만, 속내는 이통사가 한 해 유심 판매로 엄청난 수익을 날로 먹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글) 아이폰 이심 개통을 지원하는 순간 땅 짚고 헤엄치는 수준으로 쉽게 벌고 있는 막대한 ..

리뷰 2021. 12. 20. 14:14

갤럭시S6 보조금 대란이 단통법 문제라고? 출고가 인하는 왜 안하나

갤럭시S6가 출시된지 1주일만에 보조금을 단말기유통법이 정한 최대 한도인 33만원에 근접한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이동통신유통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특히 예약구입을 했던 소비자들은 불과 일주일만에 보조금이 약 3배 가까이 늘어나면서 큰 손해를 보게되었습니다. 그야말로 충성도가 높았던 고객들이 한순간에 호갱으로 전락해버리자 이로 인한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모든 문제의 시발점이 단말기유통법으로 인한 폐단으로 비춰지고 있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 조금 이야기 하고 가야할 것이 있어 보입니다. 일단 단말기유통법의 근본취지는 고객의 차별은 없애자는 것 입니다. 누구는 운이 좋아서 공짜폰을 사고 누구는 덤터기를 써서 비싸게 스마트폰을 구입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법이 바로 단말기 유통법입니..

단상 2015. 4. 21. 13:08

갤럭시S6 보조금상한 지급, 전세계적 품귀라더니 보조금 전쟁??

삼성전자의 야심작인 갤럭시S6 및 갤럭시S6의 보조금이 법이 정한 최대 상한선 금액인 33만원에 육박하며 언론을 이를 갤럭시S6 판매를 위한 이통사들의 보조금 전쟁이 시작되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언론이 전하는 내용의 요는 이통사들이 갤럭시S6를 판매를 선점하기 위해 보조금 전쟁을 벌이는 것 처럼 보도하였는데 기사를 보고 피식 웃음이 나왔습니다. 삼성전자는 분명 갤럭시S6 및 갤럭시S6엣지를 지난 주에 공식 출시하면서 사상최대의 실적, 그리고 재고 부족으로 인해 전세계적(국내도 아닌) 유통망에 품귀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필자도 경제학자는 아니지만 기본상식으로 생각해 보면 없어서 못파는 물건으르 굳이 싸게 팔 필요가 있냐는 것 입니다. 애플 아이폰6에서 보면 알겠지만 애플 아이폰6와 아이폰6플러..

단상 2015. 4. 18. 10:06

갤럭시S6, S6엣지 보조금 이통사별 총정리, 보조금 담합 했나?

단통법 통과이후 제한적인 보조금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불만이 극에 달해 있는 상황으로 방통위는 부랴 부랴 공시보조금 상한을 30만원에서 10% 늘어난 33만원으로 조정하였으나 10일 출시 된 삼성전자의 갤럭시S6와 갤럭시S6엣지가 외국에서는 거의 공짜에 구입할 수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이통사들의 공시보조금이 생각보다 낮게 책정되면서 소비자 불만이 여기저기 터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이통사와 제조사가 단말기유통법(단통법)에 대한 불만이 고조된 상황에서 사실 상 빅엿을 먹이기 위해 보조금을 상당히 낮게 책정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과연 이통사들이 책정한 갤럭시S6와 갤럭시S6엣지의 공시보조금은 도대체 얼마인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먼저 SKT입니다. SKT의 경우 갤럭시S6엣지가 최대 14만..

단상 2015. 4. 12. 12:11

해외직구 스마트폰 MMS와 데이타 안될때 APN 등록하면 해결

지난 해 10월 단말기유통법 통과 이후 이동통신사들의 불법보조금이 근절되면서 보조금 규모가 줄어들자 그동안 왜곡되었던 이동통신 단말기 유통구조에 직격탄을 맞으면서 한때 제조사와 이통사들이 담합하여 만들어 놓은 높은 출고가로 인해 스마트폰 구입에 따른 부담이 고스란히 소비자들에게 전가되었는데요. 천정부지로 올라간 스마트폰 구입비 부담에 화가난 소비자들이 찾아 낸 대안은 바로 해외직구 였습니다. 단말기유통법 이전에는 국내에 출시되지 않거나 아니면 조금이라도 빠르게 최신 스마트폰을 구입하려는 소비자들이 해외직구를 선호했다면 이젠 왜곡된 국내 스마트폰 가격에 저항하여 합리적 소비를 하려는 소비자들이 해외직구로 눈을 돌리면서 외국에서 직접 저렴한 가격에 스마트폰을 구입하고 있습니다. 물론 단순히 가격이 저렴해서 ..

강좌 2015. 2. 19. 16:21

이동통신사 삼국지 - SKT 선방, KT 자존심 회복, LGU+ 영원한 넘버3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2014년 성적이 나왔습니다. 지난 해 10월 단말기유통법 통과로 불법보조금에 대한 강력한 규제가 시행되면서 법 시행이전이었던 3/4분기부터 이동통신사들이 상당히 고전했던 상황이라 실적이 저하되었을 것이라는 생각과 달리 이동통신 전체 가입자수는 전년대비 4.6 % 신장된 결과를 보여주었는데요. 이동통신 3사가 지난 해 사활을 걸고 펼쳤던 이동통신 삼국지의 그 결과에는 어떤 재밌는 이야기들이 있을지 통계를 통해 이동통신사의 2014년 영업실적과 2015년 영업 전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지난 한 해 이동통신시장 점유율을 놓고 1위 기업인 SKT는 KT와 LG U+의 공격에 수성하는 입장이었고 U+는 LTE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상당히 공격적인 영업으로 KT와 SKT를 공략하고 있고 KT는 ..

칼럼 2015. 2. 15. 22:58

단말기유통법(단통법) 시행이후 눈여겨 볼 통계, 이통시장은 변화중?

단말기유통법이 시행된지 벌써 두달이 지났습니다. 시행초기 엄청난 홍역을 앓았던 단말기유통법이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안정화 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아직까지 냉냉한 대접을 받고 있는 단말기유통법이지만 최근 발표된 자료중 눈여겨 볼만한 통계자료를 통해 단말기유통법 시행이후 지난 2개월 동안 이동통신시장에 어떤 흐름으로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1. 이동전화 가입자 추이 지난 10월 단말기유통법 시행이후 이통사들이 단말기 공시보조금을 터무니 없이 낮게 책정하면서 일평균 가입자가 법 시행이전보다 약 40%가량 급감하여 소비자와 유통채널에서 단말기유통법에 대해 성토가 이어졌고 급기야 방송통신위원회와 미래부가 나서면서 이통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전달하였고 이후 조금씩 올라간 단말기 공시보조금이 제..

칼럼 2014. 12. 4. 12:27

단말기유통법(단통법) 시행, 지난 한 달간의 성적표는?

단말기유통법(단통법의 공식 약칭)이 시행된지 오늘로서 꼭 한 달이 되었습니다. 시행초기 이통사들의 보조금 축소로 인해 갑작스레 껑충 올라버린 스마트폰 가격에 소비자들이 지갑을 꼭꼭 걸어 잠그면서 이통시장에 때 아닌 이른 겨울이 찾아왔고 이는 휴대폰유통점의 매출부진으로 이어져 폐업의 위기에 놓인 유통점 관계자들은 연일 거리로 나와 단말기유통법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실 단말기유통법의 본질을 들여다 보면 소비자, 이통사 및 제조사 등 이통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법이긴 하지만 시행초기에 심한 홍역을 앓고 있는 것 같은데요. 과연 단말기유통법이 제대로 정착 될 수 있는지 아니면 특단의 조치(법 개정)가 필요한지 지난 한 달 간의 단말기유통법 성적표를 확인해 보..

칼럼 2014. 11. 24. 13:39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TOTAL :

TISTORY 2015 우수블로그
05-09 15:09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리뷰요청
디지털로그 © zullu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